본문 바로가기
암호화폐 및 가상자산 상속

NFT는 상속 가능한 자산일까?

by 세모디터 2025. 4. 20.

- 예술작품? 재산? 콘텐츠? 그 경계에서 상속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? -


✅ NFT, 남겼는데 아무도 모르면?

“아버지가 메타마스크에 NFT를 모아두셨다는데, 어디 있는지 몰라요.”
“자산인지, 이미지인지… 상속 대상이 맞는지도 모르겠어요.”
“비밀번호는 알아도, 시드 문구를 잊어서 지갑을 못 열고 있습니다.”

 

NFT는 ‘가상 자산’이지만, 그 안에는
수천만 원짜리 디지털 아트, 음악, 영상 저작물, 게임 아이템, 멤버십 카드, 한정판 수집품
이 담겨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문제는 이 NFT들이
✔ 어디에 저장돼 있는지
✔ 누구의 지갑에 들어있는지
✔ 접근할 방법은 무엇인지
✔ 법적으로 상속 가능한지조차
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겁니다.

 

이 글은
NFT를 보유한 사람이 ‘생전에 준비해야 할 모든 정리 방법’
유족이 ‘사후에 상속 처리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절차’
가장 명확하고 실용적으로 알려주는 실전 가이드입니다.


✅ NFT는 ‘상속 가능한 자산’입니다. (단, 조건이 있습니다.)

NFT는 대한민국 민법상 재산권이 있는 무형자산으로 간주됩니다.
2022년 이후, 금융당국과 법원에서도 NFT를 일정 기준에서 상속 대상 재산으로 인정하기 시작했습니다.

 

▶ NFT 상속 법적 조건 요약

항목 상속 가능 여부
NFT 자산 가능 (시세 존재 시)
NFT 콘텐츠 경우에 따라 제한적
메타마스크 등 지갑 내 NFT 지갑 접근 가능 시 상속 가능
거래소 보관 NFT 상속 절차 존재
비상장 NFT 법적 근거 미비 → 위험

* 요약: NFT도 상속 가능합니다.
하지만 실제 상속되려면 “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”는 조건이 붙습니다.


NFT는 상속 가능한 자산일까?

✅ NFT의 종류에 따라 상속 전략이 달라집니다.

NFT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 

① 거래소 기반 NFT (업비트NFT, 클립Drops 등)

  • 거래소 내에서 발행 및 보관되는 NFT
  • 예: 업비트NFT(도토리), 카카오클립 기반 NFT
거래소에 상속 신청 가능
ID, 인증서 기반
시세 있는 자산으로 간주되어 상속세 대상 가능

 

② 개인지갑 NFT (메타마스크, 트러스트월렛)

  • ERC-721, ERC-1155 기반의 탈중앙화 NFT
  • 대다수의 NFT 아트, 멤버십, 디지털 수집품이 여기에 포함
  • 보통 OpenSea, Blur, LooksRare 등을 통해 거래
시드 문구 없이는 접근 불가
소유권이 지갑에 귀속되므로, 지갑을 열 수 있어야 상속 가능
실물 미보유 = 무형자산이므로 법적 해석에 차이 있음

 

③ 온체인 NFT (영구 기록형 디지털 자산)

  • 블록체인에 직접 저장된 풀 온체인 NFT
  • 예: Autoglyphs, EtherRocks 등
삭제 불가 → 항상 존재
가치 상승 가능성 있음
상속 시 고유 주소와 지갑이 결정적 역할

✅ NFT가 상속되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 3가지

1. 시드 문구가 사라졌기 때문

→ 메타마스크, 하드월렛 모두 ‘복구 키’ 없이 접속 불가

 

2. NFT 위치를 가족이 몰랐기 때문

→ 여러 지갑에 분산되어 있어 추적 불가

 

3. 콘텐츠 자체가 상속 대상인지 판단이 어려웠기 때문

→ 법률적 해석이 모호한 경우가 있음

결국 NFT도 생전 정리 없이는 상속 불가능한 자산입니다.


✅ 생전 NFT 정리, 이렇게 하세요.

▶ STEP 1. NFT 보관 위치 정리하기

항목 예시
플랫폼 OpenSea / 클립 Drops / 업비트 NFT
지갑 주소 0x4c3...a72b
보유 수량 12개
대표작 Bored Ape #5417
보유 시세 약 4,500 USD
로그인 방식 메타마스크 (브라우저 확장형)
시드 문구 보관 위치 금고 안 흰색 봉투

▶ STEP 2. NFT 분류표 만들기

종류 예시 설명
아트 Beeple, Ape 등 개인 수집용, 경매 가능
음악 NFT 음원 파일 스트리밍/소장 용도
멤버십 BAYC, KlipDrop 커뮤니티 기능, 한정 콘텐츠
게임 Axie 등 게임 아이템, 캐릭터
티켓 콘서트·행사 1회성 출입권
미분류 실험적 NFT 상속 판단 유보

▶ STEP 3. 가족이 알 수 있도록 요약 정리

  • NFT 총 수량: 38개
  • 지갑 수: 메타마스크 2개 / 클립 1개
  • 로그인 방법: PC 브라우저 크롬 / 시드 문구 필요
  • 시드 문구 위치: 금고 내 USB / 종이 백업
  • 상속 희망: 전부 보존 또는 ETH 변환 후 분배
  • 유언장 포함 여부: 포함됨

✅ NFT가 포함된 유언장 예시

🖼️ NFT 자산에 대한 디지털 유언장

  • NFT 총 수량: 38개
  • 주 플랫폼: OpenSea, 업비트NFT, 클립
  • 시드 문구: 금고 속 흰색 봉투 (USB + 종이 이중 백업)
  • ETH 보유량: 3.41개 (NFT 결제 용도)
  • 고유 지갑 주소: 0x43c...7c2f
  • 희망 처리 방식: 디지털 유산으로 보존 / 일부는 판매 후 상속인 균등 분배
  • 상속 대상자: 배우자 홍예정

작성자: 홍세모

작성일: 2025.04.15


✅ 상속 시 법률적으로 주의할 점

▶ NFT가 예술품인가? 재산인가?

구분 NFT 콘텐츠 NFT 자산
법적 해석 창작물 (저작권 적용) 디지털 자산 (재산권 적용)
상속 가능성 제한적 가능
과세 여부 논란 있음 과세 대상

* 과세 기준은 시세 존재 여부
* 보통은 NFT를 디지털 자산으로 분류함
→ 상속세 대상

 

▶ 해외 거래소 보관 시

Binance NFT, Magic Eden 등에서 NFT 보관 중일 경우
해외자산신고 의무 대상이 될 수 있음, 상속 시 세무 상담 필수


✅ NFT 소멸을 막기 위한 정리 전략 요약

1. 지갑 + 시드 문구 위치 정리

→ 금고, USB, 종이 백업 등으로 이중 보관

 

2. NFT 종류별 정리표 작성

→ 무엇이 어디에 있고, 어떤 가치를 가지는지 정리

 

3. 상속 의사 기록

→ 보존 / 매도 / 분배 방식 명시

 

4. 유언장 포함

→ 지갑, 주소, 시드, 거래소 계정 등 전반 포함


📌 요약정리 카드

  • NFT도 상속 가능한 자산입니다.
  • 단, 지갑과 시드 문구 없이는 상속 자체가 불가능합니다.
  • 콘텐츠형 NFT의 경우 법적 해석이 다를 수 있습니다.
  • 가장 중요한 것은 “어디에, 어떤 NFT가 있고, 어떻게 열 수 있는가”를 남기는 것입니다.

NFT를 정리하면, 디지털 기억도 가족에게 전달됩니다.


📌 이전 글 확인:
👉 [ 디지털 은행 계좌와 증권사, 상속 시 꼭 챙겨야 할 7가지 ]

📌 다음 글 예고:
👉 [ 가족에게 알려야 할 암호화폐 5가지 정보 ]

블로그 이웃 추가구독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준비하세요.

세모디터가 계속 함께하겠습니다.

복잡한 건 세모디터가 정리할게요.
당신은 기억만 하세요. 세모일기